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트럼프의 4월 2일 관세정책, 미국 증시는 얼마나 하락할까?

by 개인투자 공부하기 2025. 4. 1.
SMALL

트럼프의 4월 2일 관세정책, 미국 증시는 얼마나 하락할까?

2025년 4월 2일,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대규모 관세정책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자동차, 기술 제품 등 주요 수입 품목에 대해 25%의 상호 관세가 부과된다는 내용인데요, 이는 글로벌 무역 전쟁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어 시장에 큰 파장을 줄 수 있습니다.

1. 관세정책의 핵심 내용

  • 25% 상호 관세 부과 예고 – 타깃: 중국, 유럽, 멕시코산 자동차·부품·기술 제품
  • 무역 보복 가능성 – 중국은 이미 반격을 예고했고, 유럽은 WTO 제소를 시사
  • 시장 반응 – 현재(3월 말 기준) 약 -2% 조정 중, 정책이 아직 전면 반영된 상태는 아님

2. 과거 사례 비교

시기조치S&P500 반응
2018년 3월트럼프 첫 대중 관세 예고-3% 하루 급락, 이후 2주간 -6~7%
2019년 8월추가 관세 + 위안화 절하-2.9% 하루 급락, 한 달간 -5%

과거에도 트럼프의 관세 발언은 시장에 중단기적 충격을 가져왔습니다.

3. 현재 시장의 조건

  • 기술주 과열 + 고평가
  • 금리 인하 지연 우려 + 성장 둔화
  • 기관 익절 명분 확보 분위기

→ 이런 환경에선 작은 악재에도 과민 반응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4. 예상 하락 폭 (정책이 그대로 시행된다는 가정하에)

지수예상 하락폭설명
S&P500-4% ~ -7%단기 심리 조정, 밸류 부담 해소 구간 진입
나스닥-6% ~ -10%테크·반도체 수출 민감, 급락 가능성
다우지수-3% ~ -5%글로벌 제조주 중심, 무역 타격 직접 반영

하락 타이밍: 4월 2일 전후로 하루 이틀 내 급락 가능, 이후 2~3주간 횡보 or 추가 하락

반등 조건: 관세 완화 협상 or 금리 인하 신호 필요

5. 시장 심리 포인트

  • 트럼프는 협상용 으름장을 자주 활용해온 전략가
  • 일부 투자자들은 실제로 강하게 시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적 시나리오"도 보유
  • 따라서 단기 급락 후 기술적 반등 시도 가능성도 상존

6. 전략 요약

  • 현금 20~30% 확보: 단기 급락에 대비한 유동성 확보
  • 고성장·고평가 종목 비중 축소: 기술주 리스크 방어
  • 배당 ETF로 수비 전환: JEPI, SCHD 등으로 현금흐름 확보
  • 급락 시 저가매수 타이밍 포착: NVDA, VOO, QQQ 등 우량 종목 중심 대응

결론: 트럼프 리스크, 반드시 대응하라

이번 관세 정책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닙니다. 시장은 과거보다 더 민감하고, 투자자 심리는 더욱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준비된 투자자에겐 이번 위기가 저가 매수의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방어와 공격, 두 전략을 모두 세팅해두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