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트럼프 정부의 약달러 정책, 원자재 투자 전략으로 대응하라
2025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복귀와 함께 약달러(Weak Dollar) 정책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임기와 마찬가지로 자국 산업 보호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달러 약세를 선호하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약달러 시대, 투자자들은 어떤 자산에 주목해야 할까요? 그 해답 중 하나는 바로 원자재입니다.
1. 트럼프 정부의 약달러 정책
- 관세 강화: 수입 억제와 미국 내 생산 유도를 위해 중국, 유럽 등 주요국에 높은 관세 부과 추진
- 수출 경쟁력 강화 발언: 트럼프는 “강한 달러는 미국 산업에 해롭다”고 공공연히 언급한 바 있음
- 재정적자 확대: 감세 정책과 지출 확대는 달러 가치 하락 요인으로 작용
이러한 정책들은 시장에 달러 약세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글로벌 투자자들은 이에 따른 포트폴리오 조정에 나서고 있습니다.
2. 약달러와 원자재: 왜 중요한가?
달러는 국제 원자재 거래의 기준 통화입니다. 따라서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상대적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원유: WTI, 브렌트유 모두 달러 기준 거래 → 약달러 시 실질 가격 상승
- 금/은: 안전자산 + 약달러 수혜 자산 → 인플레이션 방어 효과도 있음
- 농산물/산업용 금속: 구리, 알루미늄, 옥수수 등도 환율 영향 직격탄
달러가 약할수록 원자재는 강해진다는 원칙은 역사적으로도 반복된 현상입니다.
3. 원자재 투자 방법
① ETF 투자
- 금 ETF: GLD, IAU / 국내: KODEX 골드선물(H)
- 원유 ETF: USO, DBO / 국내: KODEX WTI원유선물(H), TIGER 원유선물Enhanced(H)
- 종합 원자재 ETF: DBC, COMT / 국내: KODEX 3대농산물선물, TIGER 농산물선물Enhanced
② 직접 투자 (선물/CFD)
고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라면 원자재 선물이나 CFD(차액결제거래)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높은 레버리지와 리스크를 감안해야 합니다.
③ 원자재 관련 주식/ETF
- 에너지 기업: 엑슨모빌(XOM), 쉐브론(CVX)
- 광산/금속: 뉴몬트(NEM), 리오틴토(RIO)
- 관련 ETF: XLE(에너지), GDX(금광주), COPX(구리 관련)
4. 원자재 투자 시 유의사항
- 환율 영향: 원자재 ETF는 달러 기반이므로 환차손/이득 발생 가능
- 가격 변동성: 공급/수요, 지정학 리스크 등으로 급등락 가능
- 분산 투자: 금 + 원유 + 농산물 등 섹터 분산으로 리스크 완화
마무리
트럼프 정부의 정책 방향이 약달러 → 인플레이션 → 원자재 강세 흐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주식만이 아닌, 원자재와 실물 자산 중심의 분산 투자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단기적 흐름보다는 경제 흐름에 기반한 중장기 전략으로, 원자재 투자를 적극 검토해보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
SMALL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우절 특집: 경제계를 뒤흔든 황당하고 웃긴 에피소드 5선 (3) | 2025.04.01 |
---|---|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어떤 시장에도 흔들리지 않는 투자 전략 (0) | 2025.03.31 |
2025년 유럽 주식 투자 전략: 미국을 대신할 대안은? (1) | 2025.03.30 |
트럼프 시대, 현금 보유 전략과 리스크 관리법 (0) | 2025.03.30 |
주식 초보가 가장 많이 실수하는 투자 습관 TOP5 (0) | 2025.03.30 |